http://map.ngii.go.kr/ms/map/NlipMap.do
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에서 수치지형도를 다운받은 후,
1. Cad에서 Revit에 있는 도면대로 원점 잡는다.
2. Cad에서 X 1000 으로 스케일을 키워준다.(기존 수치지형도에는 1:1000의 축척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)
이 부분은 항상 기본적인 부분이지만, 처음에 접근하면 스케일이 헷갈려서 제대로 작업 못하는 경우가 많다. 캐드 내에서 스케일을 1000 키우고, 레빗으로 가져올 때 "미터"로 가져올 지 "밀리미터"로 가져올 지 잘 판단해서 작업해야 나중에 재 작업하는 경우가 없다.
수치지형도 열어서 레이어 확인해줄 것 (입면, 등고선을 나타내주는 위치 레이어)
수치지형도의 축척마다 담겨진 레이어의 내용이 상이함으로 본인의 경우에는 가장 축척이 큰 수치지형도를 선택하여 내부원점을 잡았다.
내부원점의 경우에는 Cad에서 limits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, 원시적으로 L(line) > 0,0 > F8 직선으로 쭉쭉 X,Y축 그어주고 원점 표시! 그리고, 원하는 위치를 M(Move)로 원점에다가 옮겨주는 게 제일 편한 거 같다.
정면도를 향했을 때 입면도라고 생각하면 되며, 해당 면에서 높이를 나타내주는 Layer만 체크하여 확인한다.
a0013110
f0017111
h0027311
레빗에서 [파일 - CAD 가져오기] 로 캐드 파일을 업로드해준다.
나 같은 경우에는 도면 파일이 기존에 여러개 있어서 지형작성에 필요한 레이어만 업로드로 가져왔다.
[매지작업 & 대지 > 지형도 > 가져오기에서 작성 > 가져오기 인스턴스 선택 ] 을 해서 해당 지형에 맞는 레이어를 선택해준다.
다 선택하지 말고,
a0013110
f0017111
h0027311 필요한 레이어만 가져온다.
'취업해요 > 🖥️22'12~23'05 BIM건설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N일차. D-40 2시간 자고 정신없는 수요일과 저녁 쭈꾸미 먹고 정신차린 날.. (0) | 2023.04.20 |
---|---|
6N일차. D-41 비가 오고 다시 소생 중인 나와 레빗🐰 (1) | 2023.04.18 |
6N일차. 만물이 소생할 때 나만 소생못하고 일주일만에 학원간 썰.. (1) | 2023.04.18 |
64일차. 이번주는 평가의 연속...😢 은근 체력소모 많은 월요일 시작 (0) | 2023.04.10 |
pix4D 드론 영상 추출하기 (0) | 2023.04.10 |